-미국, 독일, 일본, 중국에 이어 한국 최하위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의 4차산업혁명 분야별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조사 한 결과, 인력부족률은 29.4%로 인력수요의 약 3분의 1이 부족한 것으로 전망했다.(사진이미지=pixabay)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의 4차산업혁명 분야별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조사 한 결과, 인력부족률은 29.4%로 인력수요의 약 3분의 1이 부족한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픽사베이)

[데일리비즈온 이은광 기자] 미래 성장동력인 4차산업혁명 분야에서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우리나라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의 심각성을 방증하는 것으로, 4차산업혁명을 대비한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 한경연 “우리나라, 4차산업 구직난”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한국의 4차산업혁명 분야별 협회의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주요국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조사 한 결과, 2020년 현재 한국 4차산업혁명의 인력부족률은 29.4%로 인력수요의 약 3분의 1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5년 뒤인 2025년에도 28.3%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에 조사에 참여한 협회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지능정보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섬유산업연합회, 3D융합산업협회,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등 9곳이다.

올해 한국,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총 5개 주요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한국을 100이라 가정했을 경우 ▲미국 123.3 ▲독일 114.4 ▲일본 107.8 ▲중국 106.7 순으로 나타나 한국이 가장 뒤처진 것으로 조사됐다.

2025년에도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 순으로 여전히 한국이 최하위일 것으로 예상됐다. 기술분야 별로는 한국은 현재 유일하게 중국에 대해서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분야에서 앞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마저도 5년 후에는 따라잡혀 9개 기술 전 분야에서 비교 국가들 중 꼴찌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국가별 4차산업혁명의 9개 기반기술에 대한 인력경쟁력 1위 분야는 미국이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8개, 독일이 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컴퓨팅기술 등 4개, 중국이 블록체인,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등 3개, 일본이 블록체인, 첨단소재 등 2개로 나타났다.

한국은 비교대상 국가들 중 가장 앞선 분야가 단 하나도 없었고, 9개 기술분야 중 인공지능 등 6개 분야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다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3개 분야에서는 중국을 앞섰다.

앞으로 5년 후에도 한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은 주요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2025년 주요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전망은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로 중국이 독일과 일본을 제치고 2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keri 한국경제연구원)
4차 산업혁명 인력부족률 현황. (자료=한국경제연구원)

◇ AI 인재 경쟁력 중일독미 중 꼴찌

이 기간 주요 국가별 4차산업혁명의 9개 기반기술에 대한 인력경쟁력 1위 분야는 미국이 컴퓨팅기술을 제외한 8개, 중국이 드론·인공지능·컴퓨팅기술 등 3개, 독일이 3D프린팅·신재생에너지 등 2개, 일본이 신재생에너지·첨단소재 등 2개로 나타났다.

한국은 올해 중국에 앞서 있던 로봇·신재생에너지·첨단소재 3개 분야에서도 중국에 따라잡혀 2025년 모든 4차산업혁명 기술분야에서 비교대상 국가들 중 꼴찌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응답 협회들은 국내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전공 개설 확대, 능력 있는 교수진 유치 등 교육인프라 확충(29.6%) ▲기술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 인력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22.2%) ▲산관학 협력 활성화(14.8%) ▲성과보상제, 유연근무제 등 인력 유치를 위한 유연한 근로환경 및 조직문화 조성(14.8%) ▲기술혁신 및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14.8%) ▲해외 인력 유치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및 지원(3.7%)을 꼽았다.

더불어 현재 한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부족률은 29.4%로 조사됐다. 인력부족률은 업계 수요 대비 부족한 인력의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업계에서 필요한 인력이 100명이고 부족한 인원이 10명인 경우 인력부족률은 10%다. 이에 따른 인력이 부족한 주요 기술 분야는 ▲드론(55%) ▲3D프린팅(35%) ▲로봇(35%) 등으로 인력부족률이 3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5년 후에도 인력부족은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였다. 2025년 4차산업혁명 인력부족률은 28.3%로 현재와 유사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드론(75%, 20%포인트↑) ▲로봇(55%, 20%포인트↑) 등 분야에서 인력부족률은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사에서 관계자들이 지적한 산업계의 인력 확보 애로사항은 ▲실무에 적합한 기술인력 부족(40.7%) ▲석박사 등 전문 인력 부족(33.3%) ▲예산지원, 규제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11.1%) ▲근로시간, 호봉제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7.4%) ▲경쟁국 수준 임금 지급 어려움(7.4%) 등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경제정책실 관계자는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신성장동력 부재에 따른 국내 산업 생태계의 구조적 침하 현상을 감안할 때 4차산업혁명의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4차산업혁명 경쟁력의 핵심요소는 인적 자본인 만큼 교육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