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앞두고, 한국-인도간 교류협력의 방향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2017년 7월 G20 회담 당시의 문재인 대통령과 나렌드리 모디 印 총리
문재인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앞두고, 한국-인도간 교류협력의 방향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2017년 7월 G20 회담 당시의 문재인 대통령과 나렌드리 모디 총리. (사진=연합뉴스)

[데일리비즈온 박종호 기자] 7월 문재인 대통령의 인도 국빈방문을 앞두고 사단법인 인도연구소가 한국의 대(對)인도 정책 제안서를 청와대에 제출했다. 

인도연구원은 지난 10일 서울에서 문 대통령의 인도 방문에 앞서 긴급간담회를 연 바 있다. 인도연구원은 이 날의 논의를 기초로 도출된 의견서를 청와대 관계 비서관에 공식 전달했다고 19일 밝혔다.

인도연구원은 의견서를 통해 두 나라간 포괄적 동반자 관계의 성격과 그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서 "시장 확대 차원으로서 인도에 접근하는 것을 탈피할 필요가 있다"며 "오히려 인도라는 강대국을 지렛대로 삼아 중동이나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또한 모색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인도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인도연구원은 "인도는 29개의 주로 구성된 연방국가이므로 과학기술 협력, 서비스업 협력, 고급기술인력 교류 등 접근 방식을 지역적 특색에 따라 차별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특히 미래 자동차 산업에 집중할 것"을 당부했다.

의견서는 서비스 전문 인력의 영리 활동 허용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서비스 전문 인력의 영리활동이 허용되면, 영어보조교사, 간호사 등 특정 기능을 소유한 현지 인력이 한국에 취업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며, 인도와 맺은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의 개선협상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이 인도에 농업기술인 양성, 제조업 기능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이는 인도정부 기본 정책인 인적자원발전(Human Resource Development)에 부합하기 때문인데, 양 국간 합의되었지만 아직 공여되지 않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10억 달러를 재원으로 삼을 수 있다.

더불어, '제조업 기능인력 양성을 위해 학생수 감소로 존폐 위기에 처한 기능대학과 기술교육원을 활용하라'는 등과 같이 현지 노동인력 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안들도 제시됐다. 이 경우,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해당 인력을 초청하여 교육하는 방안이 가능하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