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F 올해 세계 경제 부채 규모 연 30경원 추산
-코로나에 각 국가 정부 대규모 재정 정책 시행
-선진국보다 신흥국가 부담, 6곳 디폴트 선언

티머시 애덤스 국제금융협회(IIF) 회장.
티머시 애덤스 국제금융협회(IIF) 회장.

[데일리비즈온 박기혁 기자]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여파가 글로벌 부채 규모의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세계 경제 부채 규모에 대한 부담이 지적되고 있던 상황.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각국 정부가 대규모 재정 정책을 펴면서 부채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문제는 신흥국에서 더욱 심각하다. 

◇ 코로나로 글로벌 부채 규모 30경원

23일 외신보도 등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대유행이 세계 경제 부채 규모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채 규모 급증으로 세계 경제에 위기가 감돌고 있다. 특히 신흥국가는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으며 국가부도 위기에 몰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8일(현지시각) 국제금융협회(IIF) 자료를 인용해 올 9월 기준 전 세계 부채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5조 달러 증가한 272조, 연간 277조 달러(약 30경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최근 세계 경제의 부채 규모 증가세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었다. 실제로 2012~2016년까지 4년간 6조 달러 규모의 부채가 증가했으나 2016년 불과 9개월 만에 52조 달러가 늘어났다. 지난해 역시 범상치 세계 경제 부채 규모 증가세에 대한 경고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결정타는 장기화하고 있는 코로나19다.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기록적인 경기침체에 빠져있다. 세계 각국 정부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를 타파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동원 재정 정책을 실시했다. 문제는 심각한 저금리 상황에서 이 같은 재정 정책은 각국 중앙은행의 대출 규모 급증이라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 대규모 재정 정책이 부채 급증 원인

코로나19에 따른 재정정책은 효과는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지적이다. 각국 정부는 경기 회복을 목적으로 막대한 자금을 풀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경기 회복은 기대보다 더딘 가운데 세수 확보 역시 부진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큰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재확산 기조가 지목되고 있다. 대규모 공적 자금 투입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며 정상적인 경제 활동에 지장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IIF 조사 결과 부채 증가 폭은 선진국들이 더욱 급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GDP 대비 부채 비율은 올해 50% 넘게 증가해 지난 9월 기준 432%다. 이 중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미국이라는 설명이다. 미국 총부채는 올해 80조 달러로 지난해 말 71조 달러 대비 9조 달러 커졌다.

선진국들의 부채 증가 폭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는 하지만 부채 증가에 따른 실질적 부담은 신흥국이 더욱 크다. 올해 GDP 대비 신흥국 부채 비중은 250%로 지난해 대비 26%포인트 커진 상황으로 정부의 채무 원리금 상환 규모 역시 증가했다.

지난 2월 잠비아의 한 약국에서 주민이 마스크를 구매하는 모습.
지난 2월 잠비아의 한 약국에서 주민이 마스크를 구매하는 모습.

◇ 신흥국가 6곳 채무 불이행 선언

FT보도에 따르면 재정이 취약한 신흥국들은 부채 증가에 급격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들 신흥국이 내년 말까지 갚아야 하는 차입금 규모는 7조 달러에 달한다. 문제는 잠비아 등 아프리카 저개발 국가 6곳이 디폴트(채무 불이행) 선언을 했다는 점이다.

잠비아는 국가부도설까지 불거지고 있는 등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G20(주요 20개국)은 이 같은 위기 상황에 최빈국가 46곳의 부채 상환은 연기해주는 50억 달러 규모 ‘채무서비스 중단 이니셔티브(DSSI)’를 시작했지만,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흥국들이 당장 감당해야 하는 채무 규모는 상당하다. IIF 조사 결과 신흥국 부채 중 내년 말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는 약 7조 달러에 달한다. 심지어 이 중 15%가 미국 달러로 환율 변동 위험에도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의 제로민 제텔마이어 부국장은 지난달 금융위기에 처할 위험이 높은 국가 숫자가 팬데믹 이전 선진국 3곳, 신흥국 15곳이었지만 각각 8곳, 35곳으로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