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추위 차기 회장 후보군 총 7명 확정
-관피아 논란에도 업계 ‘관’ 출신 선호
-김광수‧이정환‧민병두 3파전 레이스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

[데일리비즈온 손성은 기자] 은행연합회 차기 회장 선출 레이스의 막이 올랐다. 당초 최유력 후보로 꼽히던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은 지원을 고사한 했다. 김태영 현 회장의 임기는 이번 달 30일. 시간이 촉박한 가운데 추려진 롱리스트에는 정관계는 물론 민간 출신 후보들이 올랐다. 현재 업계는 금융당국의 업계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정관계 인물을 원하고 있지만, ‘관피아’ 논란 역시 무시할 수 없다. 

◇ 차기 회장 후보군 롱리스트 확정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장 회장추천위원회는 이날 오전 차기 은행연합회 회장 후보군을 선정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회추위는 지난 11일 1차 회의를 열고 차기 회장 후보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지만, 후보군을 추리지 못했다.

2차 회의를 통해 추려진 후보군은 총 7명이다.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김병호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민병덕 전 KB국민은행장, 민병두 전 국회 정무위원장,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 이대훈 전 NH농협은행장,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 등 7명이다.

롱리스트를 확정한 회추위는 내주 최종 후보를 확정할 전망이다. 현 회장인 김 회장의 임기가 오는 30일로 남은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이다. 회추위는 최종 후보 선정 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것으로 보이다. 은행연합회 차기 회장 후보는 단독으로 추대된다.

회추위는 이르면 오는 23일 차기 회장 후보를 선출한다는 계획이지만, 이날 결론을 내지 못하면 1~2일간 추가 논의를 진행한 뒤 추천 협의를 한다는 방침이다.

이정환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
이정환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

◇ 정관 출신 3 VS 민간 출신 4 구도

차기 은행연합회 회장 선출 과정은 난항을 겪고 있다. 당초 유력 후보로 거론되던 관료 출신 인사들이 모두 고사하는 상황이 연출됐다. 업계는 코로나19라는 악재, 강화되는 금융규제와 관련해 업계의 입장을 강하게 대변해 줄 관료 출신 회장을 원했다.

당초 최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은 직접 김 회장에게 연합회 회장직에 뜻이 없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여기에 김용환 전 NH농협금융지주 회장과 윤대희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 고사했다.

관료 출신 유력 후보들이 고사하면서 차기 회장 후보군 롱리스트에 이름이 올린 7명 중 3명이 ‘정관’ 출신, 4명이 민간 출신으로 결정됐다. 후보 중 김광수 회장과 이정환 사장은 관료 출신이며 민병두 전 정무위원장은 국회의원 출신이다. 당초 관료 또는 정계 출신이 유력할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민간 출신 후보자들이 더 많은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료 출신 후보들이 경쟁에서 유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업계는 여전히 금융당국에 소통의 폭이 넓은 관료 출신 회장 선출을 바라고 있다는 것. 특히 은행연합회 혁대 회장 12명 중 민간 출신은 4명에 불과했던 만큼 관 출신의 선출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민병두 전 국회 정무위원장.
민병두 전 국회 정무위원장.

◇ 3파전 구도, 최종 승자는 누구?

금융권은 차기 은행연합회 회장 선출 경쟁구도를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 민병두 전 국회 정무위원장의 3파전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와 사모펀드 사태 등 정부와 업계의 상황을 고려할 때 관 출신이 앞서나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김광수 회장은 재정경제원, 금융감독원, 재정경제부, 공적자금관리위원회, 금융위원회, 청와대 경제수석실을 거쳤다. 근본적으로 관 출신인 동시에 현역 농협금융지주 회장이기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정환 사장은 재정경제부, 국무조정실을 거쳤다. 장기간에 걸친 공직 생활 동안 높은 전문성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 대선후보 당시 캠프에서 정책자문을 맡은 경험도 있다. 한국거래소 이사장, 주택금융공사 사장 등 현업에서의 경력도 있다.

유일한 정치권 출신인 민병두 전 정무위원장은 국의 상임위 정무위원회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산업 전반에 이해도를 갖췄다. 또한, 국회의원 활동 경력을 바탕으로 정부와 충분히 소통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현업 경험이 없다는 점은 약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