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서해 꽃새우 안전성 조사 ‘답보’ 
-국내 해양쓰레기 발생량 14만5000톤 추정

농심 새우깡.
농심 새우깡.

[데일리비즈온 이동림 기자] 정부가 ‘새우깡 논란’ 해소를 위해 서해 꽃새우의 안전성에 대한 전면 조사에 나선지 1년을 훌쩍 넘었지만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7월말 해양수산부 고위 관계자는 “농심이 서해 꽃새우에 이물질이 많아 물량을 줄이겠다”며 “서해 꽃새우에 정말 이물질이 많이 나오는지 전면적인 검사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는 일각에서 플라스틱과 비닐이 검출되는 등 서해 오염이 심각하다는 주장이 제기된 데 따른 조치였다. 

현재 해수부는 서해에 해양쓰레기의 약 40%(5만톤)가 있다는 주장에 주목하고 있다. 해양환경공단에 따르면, 국내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14만5000톤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은 페트병 등 플라스틱이 가장 많다. 

플라스틱은 약 500년이 지나야 소멸하기 때문에 해양생물의 생명을 위협하는 등 인간에게도 잠재적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게 환경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더 큰 문제는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2018년 기준으로 9만5631톤에 불가하다는 점. 약 5만톤의 이물질이 물속에 가라앉아 쌓였다는 얘긴데 이중 전라북도의 경우 군산, 부안, 고창 3개 시군의 해양쓰레기 수거는 3437톤에 달할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다. 

농심이 지난해 들어 갑자기 서해 오염이 심각하다며 새우깡에 들어가는 꽃새우를 전량 미국산으로 사용하겠다고 한 것도 이 때문이다. 농심은 새우깡에 들어가는 꽃새우를 100% 서해 꽃새우로 사용하다 3년 전부터 국내산 50%·미국산 50%씩을사용해왔다. 

결국 군산이 지역구인 김관영 의원의 중재로 긴급 면담 등을 통해 농심은 기존 방침을 철회하면서 군산 꽃새우의 70%에 해당하는 연간 300~500톤가량을 계속 구매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계기로 성난 민심은 수그러들었지만 서해 수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말끔하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한편, 전라북도의회 관계자는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전북의 바다가 플라스틱을 비롯한 각종 해양쓰레기로 인해 심각하게 썩어가고 있다”며 “미세플라스틱을 먹은 어류들은 우리의 식탁에 올라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