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메시지에 ‘촉각’

(사진=농협중앙회)
NH농협금융지주가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은 것을 두고 업계의 뒷말이 무성하다.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농협의 ‘자본적정성’이 부실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농협중앙회)

[데일리비즈온 박종호 기자] NH농협금융지주가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은 것을 두고 업계의 뒷말이 무성하다.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농협의 ‘자본적정성’이 부실하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내부에서도 금융감독원 메시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분위기다.

◆ 금감원, 농협금융에 ‘경영유의’ 조치

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4월 농협금융에 내부자본적정성 관리를 강화하라는 내용의 ‘경영유의’ 조치를 내렸다. 자본적정성 관련 지표가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농협) 중 가장 낮다는 지적에서다.

특히 자기자본비율이 13.62%에서 11.52%로 규제비율(11.5%)에 근접한 수준으로 하락하는 데도 대응 계획이 부재했다는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른 다양한 관측이 나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올 2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금융당국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낮은 기업들에게 미리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해석이 대표적이다.

최근 기준금리가 내려가며 순이자마진(NIM)이 줄어들고, 또 경기 위축으로 연체율이 올라가며 관련 지표가 악화될 것이라는 분석도 같은 맥락서 이해할 수 있다.

금감원은 4월 농협금융에 내부자본적정성 관리를 강화하라는 내용의 ‘경영유의’ 조치를 내렸다. 자본적정성 관련 지표가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농협) 중 가장 낮다는 지적에서다. (사진=연합뉴스)

◆ 신용리스크 측정 방식 문제 없나?

최근 정부는 금융권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독려하고 있다. 이 경우 수익성을 위한 활동들에 제동이 걸리고, 자본적정성에도 악영향이 예측된다. 그러니 다른 금융지주들 역시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농협금융이 유의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 자기자본비율이 규제 수준으로 낮아진 것도 향후 위험 신호가 될 수 있지만, 농협금융 내부의 신용리스크 측정 방식(Credit VaR)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새겨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해당 시스템이 지속적인 저금리 하에서 위험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산출된다”고 우려한다. 현재의 자기자본비율이 실제로 어느 정도로 위험한 수준인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금감원이 최근 농협지주를 향해 “(자기자본 확충과 함께) 각 단계별 세부 대응계획을 마련하라”고 촉구한 점도 이 같은 점과 무관치 않다.

김 회장은 최근 비상경영 회의에서도 “계열사별로 장단기 컨틴전시 플랜을 강화해 건전성과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며 “리스크 기반 경영관리, 효율적인 비용 집행을 통한 건전경영을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연합뉴스)

◆ 농협금융 자본확충 방안은?

최근에는 김광수 NH농협지주 회장 역시 적극적인 대책을 당부하는 모양새다. 한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김 회장은 최근 비상경영 회의에서도 “계열사별로 장단기 컨틴전시 플랜을 강화해 건전성과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며 “리스크 기반 경영관리, 효율적인 비용 집행을 통한 건전경영을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김 회장을 중심으로 자기자본을 확충하기 위한 움직임이 여러 방면에서 감지되고 있다. 농협중앙회(농협금융의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다)를 통한 유상증자를 추진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들린다. 이에 대해 농협지주 관계자는 별다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