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줄이기 위한 방안

전기자동차(사진=픽사베이)
전기자동차 (사진=픽사베이)

[데일리비즈온 심은혜 기자] 영국이 저탄소 경제로 나아가기 위한 일환으로 저탄소 배출 차량 보급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에 영국 전기자동차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은 도로교통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영국 전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27%는 교통에서 발생하고, 교통에서 유발되는 배출량의 91%가 도로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공기오염의 주요 원인, 가솔린 및 경유차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리포트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영국에서 운행 중인 차량의 약 97%는 가솔린 및 경우 차량이다. 2016년 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468MtCO2e로 교통운송 수단(27%), 에너지공급(26%), 일반사업체(17%), 가정용(15%) 순이다. 도로운송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126MtCO2e으로 교통운송 수단에서 배출되는 양의 91%에 해당하며, 일반승용차(62%), 대형화물트럭(18%), 소형트럭(17%) 순으로 나타났다.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또한 도로교통은 공기오염 물질인 질소산화물, 초미세먼지(PM2.5),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배출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16년 도로 상에서 발생한 질소산화물은 29만 9800여톤으로 약 절반에 가까운 48%가 가솔린 및 경유 차량에서 발생했다. 초미세먼지 배출량은 약 1만3400여톤으로 주로 타이어 마모에 의한 발생이 1순위(26%)이며, 그 뒤를 이어 경유자동차와 도로마모가 각각 20%를 차지했다.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영국은 2010년부터 저탄소 배출 차량 보급을 위해 약 5억 파운드 이상을 투자했으며, 지난해 차량 판매의 2.7%를 저탄소 배출차량이 차지했다. 2011년부터 저탄소 차량에 대한 플러그-인 카 보조금(Plug-In Car Grant)을 지원 중으로, 올 8월 기준 저탄소 배출 승용차, 소형트럭, 오토바이, 트럭 등에 대해 3개 카테고리로 나누어 해당 차량 구매 시 최대 3500파운드(517만원)를 보조금으로 지원한다. 이에 2011년 1월 1일부터 2018년 6월까지 16만여대의 저탄소 배출 차량이 보조금 지원의 혜택을 받았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더 나아가 영국정부는 지난해 8월 ‘2040년까지 가솔린 및 경유차 제로’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 속도는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그러나 영국의 공영 충전 인프라는 약 1만2000개소다. ㎞당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2011년 42개에서 2019년 570개로 증가했다. 2012년 이후 매년 평균 44% 증가했지만, 전기자동차 증가 속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위해 정책 마련 

영국은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해 재작년 ‘저탄소 미래로 이끄는 방법: 클린 서장전략’을 발표하고, 세계 최고의 전기자동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총리는 국가 충전 네트워크 구축에 400백만 파운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100만 파운드, 전기자동차 충전과 관련한 신기술 개발연구에 40백만 파운드의 예산 투자를 발표했다.

특히 스마트 충전의 개념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기술개발의 가능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2040년까지 전기자동차가 저탄소 배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AEV법을 제정하고, 충전기의 요건을 정했다. 또한 영국정부는 ‘스마트’한 충전 기술의 사용을 극대화해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전력시스템 유지 및 소비자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고 있다.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자료=한국산업기술진흥원)

현재는 기술개발 초기 단계이므로 환경적 여건에 따라 충전기에 요구되는 성능 등이 좌우될 수 있음을 고려해 최소한의 기준을 설정하고, 보급 계획을 수립했다. 충전기의 표준 수립 및 보급 정책은 2025년까지 최종 수립을 목표로 다양한 기술적 대안을 검토 중이다.

그리고 해당 기간 동안 충전기 보급 확대를 위해 사이버 보안, 개인정보 보호, 그리드 안전성, 최소 충전 전력, 안전성 등 최소한의 방향성을 법적으로 제시하고, 충전기 관련 기술개발이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편 국내는 신성장동력 확보 및 환경문제 대응을 위해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 정책을 수립해 친환경차 인프라 확충 및 제도 개선 등 지원기반을 마련 중이다. 2022년까지 전기차 급속충전기 1만기 보급을 목표로 충전기 이용패턴, 기술발전 등을 반영한 최적의 충전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매년 급속충전기 1500~1800기, 완속충전기 1만2000기를 보급하고 기본요금 면제, 전력량 요금 50% 할인 등의 요금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전기자동차 보급률 등을 감안해 지역별 적정 충전기수, 급속・완속 비중 등 전국 단위 충전소 구축 로드맵 마련(2018) 및 충전 포트폴리오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박소영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선임연구원은 “영국의 ‘스마트 미터 시스템’을 벤치마크해 한국 실정에 맞는 ‘스마트 충전’ 개발 및 이를 보급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기반 마련이 필요 하다”고 말했다.

영국에서 개발 지원 중인 ‘스마트 미터 시스템’을 보급형 충전기 모델로 참고해 전력시스템 유지 및 소비자 혜택 강화를 위한 전력요금 관리체계 수립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박 선임연구원은 “초기 시장형성 지원을 위해 전기충전 요금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정책에서 전력시스템 유지와 동시에 요금을 할인해 주는 방향으로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전력충전 데이터를 수집·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전기자동차 충전시간대에 따라 요금을 차등 부과할 수 있는 한국형 스마트 미터 시스템의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