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철 부회장 자발적 모금 해명은 사실관계 달라 거짓해명 드러나
모금과정이나 청와대개입 의혹은 해명치 않고 정상화추진 ‘딴소리’

▲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데일리비즈온 박홍준 기자]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이 미르, 케이스포츠 재단의 모금과정과 청와대 개입설에는 납득할 만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거짓 해명을 늘어놓아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6일 재계와 정치권 등에 따르면 최근 이 부회장은 이 기금을 재벌기업들의 제안으로 자발적으로 모금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과연 재벌그룹이 재계로서 그야말로 긴급한 당면과제도 아니고 두고두고 논의를 하면서 신중하게 추진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성격의 사업인데 스스로 제안을 하고 아무런 이견 없이 돈은 냈다는 이 부회장의 해명은 상식적을 납득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미르와 K스포츠재단 의혹은 더욱 안개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전경련이 자발적으로 기금을 모으는 등 재단설립을 주도했다고 해명했지만 재단 설립경위, 모금규모, 기업별 출연액 등의 사실관계가 상당히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경련이 외압으로 두 재단의혹을 뒤집어쓰고 사건의 실체를 덮고 넘어가겠다는 거짓해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재단의 진짜 주인은 따로 있는데 이를 감추기 위해 전경련이 거짓 해명에 나섰다는 시각이 많다.

이 부회장은 기업들의 제안에 의한 자발적 모금이라고 해명하지만 모금과정을 보면 강제할당의 성격이 짙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출연했는데 공교롭게도 출연규모와 재벌서열순위가 일치한 것은 ‘보이지 않는 손’이 전체규모를 정해주고 전경련이 재계서열위주로 할당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몰라도 기업들의 출연액을 보면 재계 서열과 꼭 들어맞는다. 미르의 경우 재계 1위인 삼성이 125억 원을 내놓았다. 이어 현대차(85억원), SK(68억원), LG(48억원), 포스코(30억원)의 순으로 출연이 이뤄졌다. K스포츠재단도 액수만 다를 뿐 거의 같은 비율로 기업들이 돈을 내놓았다. 이는 사실상의 강제할당 방식으로 모금된 지난해 청년희망펀드의 기부 비율과 비슷하다.

강제할당이나 압력이 없는 상황에서 자발적인 모금이 진행될 경우 유동성위기로 휘청거리는 그룹의 경우 한 푼이 아쉬운 상황에서 수십 억 원을 아무런 이의를 달지 않고 내놓을 수 없는 입장이다. 돈이 달려 한진해운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해 물류대란을 초래한 한진그룹이 과연 수십억 원을 자발적으로 출연할 입장에 있다고 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 부회장은 이 의혹에 전경련이 총대를 메겠다면서 사실상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경련의 거짓해명은 그 전에도 더러 있었다. 정경유착의 검은 고리로 인식되는 각종 의혹사건에는 사실을 호도하는 동떨어진 해명을 늘어놓기 일쑤였다. 최근의 사례로는 ‘어번이연합 사건’을 수 있다.

지난해 보수 우익단체인 어버이연합에 5억 원이 넘는 자금을 지원해 논란이 된 전경련의 이력도 해명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 2012~2014년 총 5억2,000만원의 전경련 자금을 지원받은 어버이연합이 친정부 집회·시위를 벌였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전경련은 불리하다 싶으니까 이에 대해서도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스스로 벙어리를 자처했다.

이 부회장이 자신이 아이디어를 내 지난해 여름부터 논의를 시작해 전경련이 자발적으로 설립했다고 밝혔지만 이는 신빙성과는 거리가 먼 해명이었다. 이 설명이 앞뒤가 맞지 않은 것은 미르재단이 현 건물에 입주한지가 2년이 넘어 이미 미르 재단의 구상과 설립 작업은 2년여 전부터 추진돼 왔다. 그런데 이 부회장은 지난해 여름부터 두 재단의 설립을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한 것은 권력층의 개입 흔적을 지우기 위한 허위해명으로 보여진다.

기업들이 출연을 제안했다는 이 부회장의 설명도 사실과는 다르다. 기금의 60% 이상을 출연한 4대 그룹은 두 재단의 설립이나 모금을 제안한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재단 출연금 774억 원의 63%(488억원)를 부담한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은 ‘재단 설립을 제안했느냐’는 모 유력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두 강력하게 부인했다.

4대 그룹의 관련임원들은 “주도할 이유가 없고, 그런 적도 없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 스스로도 재단설립을 제안한 기업이 어디냐는 질문에 “기억나지 않는다”고 답했다. 자신의 아이디어와 재벌들의 제안으로 추진했다면서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식으로 얼버무리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다.

재단이사장 선임과정에서 전경련이 어떠한 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은 K스포츠 재단의 1대 이사장은 전경련이 명망 있는 분으로 모셨는데 정작 본인은 전경련으로부터 그런 제안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정동구 1대 이사장은 이 K스포츠재단의 내용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김필승 재단이사로부터 이야기를 듣고 참여했지 전경련의 요청이야기를 단 한 번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이처럼 출연금모금과정과 청와대개입설에는 앞 뒤 맥락이 전혀 맞지 않는 해명을 늘어놓고서는 두 재단을 정상화시키겠다는 딴 소리를 늘어놓았다. 그는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씨가 선임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K스포츠재단 정동춘 이사장에 대해서도 “업무적 능력뿐 아니라 정무적 판단까지 포함해 결정하겠다”며 사실상 교체를 시사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사저와 가깝다는 지적을 받은 두 재단 사무실도 “전경련 회관이 있는 여의도로 옮기겠다”고 덧붙였다.

전경련은 언제까지 권력에 ‘검은 돈’을 대는 비리의 재계단체로 낙인찍힌 것에 대해 반성한 후 이제는 바로 서겠다는 의지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