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가공으로 고굴절률 갖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술

이번 연구에서 합성된 초 고굴절 고분자의 두께별 사진(좌측부터 7개)과 기존 황 기반 고분자(SDIB)의 사진. 짙은 노란색을 띠는 기존의 황 고분자와 달리, 이번 연구에서 확보된 재료들은 매우 뛰어난 투명성을 보인다. (사진=KAIST)

[데일리비즈온 김소윤 기자] 국내연구진이 고굴절 투명 플라스틱 필름 개발에 성공했다. 14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카이스트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 연구팀이 공동으로 단 한 차례의 증착 반응으로도 고굴절률을 갖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굴절률이란 진공상태에서의 빛의 속도와 어떤 물질에서의 빛의 속도의 비율이다. 빛이 그 물질을 통과할 때 꺾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기도 하다.

최근 모바일 기기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광학 부품의 소형화가 대세다. 이에 더욱 얇은 두께에서 많은 빛의 굴절을 유도하는 고 굴절률 투명 소재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고분자(플라스틱) 소재들은 특성이 우수하다. 또 다양한 형태로 쉽게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플라스틱 안경 렌즈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고분자 소재 가운데 굴절률이 1.75를 넘는 재료는 극히 드물다는 설명이다. 비싼 원료와 복잡한 합성 과정이 필요하고 소재 관련 원천기술의 대부분은 일본이 보유하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기존 재료와 비교할 때 가볍고 저렴한 것은 물론 자유자재로 가공할 수 있는 광학 소자 부품 제작을 위해서 고성능의 고굴절 고분자 재료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에 착안한 공동 연구팀은 단 한 차례의 화학 반응만으로 1.9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면서도 투명도가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고분자 박막 제조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공동 연구팀은 원소 상태의 황이 쉽게 승화한다는 점을 이용했다. 기화된 황을 다양한 물질과 중합하는 방법을 적용해 고굴절 고분자를 제조했다.

연구팀은 기상 반응의 특성 때문에 실리콘 웨이퍼나 유리 기판뿐만 아니라 미세 요철 구조가 있는 다양한 표면에도 표면 형상 그대로 고굴절 박막을 코팅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1.9 이상의 굴절률을 갖는 고분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스지의 이달 8월자 온라인 판에 게재된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나노 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단) 및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웨어러블 플랫폼 소재 기술센터),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지난달엔 국내 연구진이 전기가 잘 통하면서도 매우 투명한 플라스틱을 개발했다. 기존 고분자 플라스틱보다 10배 투명도를 보이는 등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는 원천기술을 확보한 것은 글로벌 최초다.

주인공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의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주용호 박사팀이다. 이들은 높은 전도성과 투명함을 동시에 지니는 플라스틱 신소재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투명전극으로 라디칼 고분자(Radical Polymer)에 착안했다. 라디칼 고분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전자를 전달하는 매개체다.

실험결과 연구진이 개발한 고분자는 필름 두께 1㎛(100만분의 1m)에서 96% 이상의 투명도를 가졌다. 이는 같은 두께에서(1㎛)의 기존 전도성 고분자의 투명도가 10% 이하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높다. 

이번 연구에 활용된 전도성 고분자는 투명전극 연구에 쓰인다. 다만 화학구조의 한계때문에 필름 두께가 두꺼워지면 불투명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