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광학필름 제작기술 개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로 활용

KAIST가 개발한 3차원 나노 구조 광학 필름. (사진=KAIST)
KAIST가 개발한 3차원 나노 구조 광학 필름. (사진=KAIST)

[데일리비즈온 김소윤 기자] 국내 연구진이 획기적인 스마트윈도우 광학필름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창호시스템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투과율을 큰 폭으로 자유롭게 조절,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식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전석우 교수와 건설및환경공학과 홍정욱 교수·신소재공학과 신종화 교수 공동연구팀이 3차원 나노 복합체를 이용, 에너지의 효율적인 신축변형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가시광 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능동형 광학 필름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정렬된 3차원 나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신축성 나노 복합체를 이용했다. 이에 가시광 투과율을 최대 90%에서 16%까지 조절 가능한 넓은 면적의 광학 필름 제작에 필요한 원천 기술을 확보했다. 이는 기존 2차원 필름의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르면 최근 제로 에너지 빌딩, 스마트 윈도우를 위한 능동형 광학 변조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해당 기술은 쇼케이스, 선글라스 등 제한돼 적용된 만큼 새로운 형태의 광학 변조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특히 연구팀은 정렬된 3차원 나노구조 제작에 효과적인 근접장 나노패터닝 (PnP) 기술과 산화물 증착(증기를 표면에 얇은 막으로 입힘)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원자층 증착법 (ALD)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신축성 3차원 나노복합체 필름을 현존하는 광학 변조 필름 중 가장 큰 면적인 3인치×3인치 크기로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광학 필름을 약 60% 범위에서 당겨 늘리면 산화물과 탄성중합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구멍들에서 빛의 산란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연구진은 이를 이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가시광 투과율 조절 범위인 약 74%를 달성했다.

(a) 광학 필름을 이용한 외부 조도 환경에 스스로 반응하는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동작 예시. (b, c) 빔 프로젝터용 월페이퍼 타입 스크린 응용 예시. (b) 인장(당겨 늘리기) 전 광학 필름의 투명 상태, (c) 인장(당겨 늘리기) 후 불투명 상태에서의 빔프로젝터 스크린 응용. (KAIST)
(a) 광학 필름을 이용한 외부 조도 환경에 스스로 반응하는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동작 예시. (b, c) 빔 프로젝터용 월페이퍼 타입 스크린 응용 예시. (b) 인장(당겨 늘리기) 전 광학 필름의 투명 상태, (c) 인장(당겨 늘리기) 후 불투명 상태에서의 빔프로젝터 스크린 응용. (사진=KAIST)

아울러 반복적인 구동 시험과 거친 변형, 70℃ 이내 고온 환경에서의 구동, 물속에서의 구동 특성 등을 확인한 결과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인하기도 했다.

KAIST 관계자는 “전 교수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기존 창호 시스템 교체 없이도 간단한 얇은 필름 형태로 유리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로 활용이 가능하다”면서 “밖에 두루마리 타입의 빔프로젝터 스크린 응용 등 감성 혁신적인 폭넓은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도 투과율을 높이는 기술을 선보였다. 지난해 말 KIST 수소·연료전지연구단 한종희·조영석 박사팀은 팔라듐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대비 5배 이상 높은 수소 투과율을 보이는 고성능 복합 분리막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많이 쓰이던 고온 열분해 공정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 불필요한 성분들을 제거해야하는 등 공정이 복잡해 수소의 가격을 올리는 요인이 되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인 수소 정제 기술은 간단하고 모듈화가 쉬워 효율적으로 고순도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고가의 귀금속(팔라듐)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상용화의 한계다.

연구팀은 이에 팔라듐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대비 5배 이상 높은 수소 투과율을 보이는 고성능 복합 분리막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정제된 수소는 99.999% 이상의 고순도로 수소전기차에도 바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는 수소 생산 가격을 낮추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높은 수소 투과도 및 순도, 경제성을 특징으로 지닌 금속 복합 분리막 소재를 개발하던 와중 주기율표 5족에 속하는 전이금속들에 팔라듐을 얇은 두께로 증착시킨 결과 5족 금속의 높은 수소 투과율과 팔라듐의 우수한 수소 분리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금속 복합 분리막을 제작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수소 생산 플랜트, 천연가스 개질 분리막 반응기, 수소충전소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용화를 위해서는 분리막의 대면적화 및 내구성 확보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과정 중 연구팀은 또 기존에 알려진 금속 복합 분리막의 수소 투과율 계산이 수소 용해도와 확산도를 잘못된 온도 영역에서 합산하며 발생한 오류라는 것도 알아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