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우촌이 반려동물 시장을 공략해 사료 등을 출시했다. (사진=목우촌 홈페이지 갈무리)
목우촌이 반려동물 시장을 공략해 사료 등을 출시했다. (사진=목우촌 홈페이지 갈무리)

[데일리비즈온 김소윤 기자] 반려동물 1000만 시대를 맞았다. 고령화와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늘었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통계를 보면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율은 2010년 17.4%에서 2015년 21.8%로 증가했다.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도 2012년 9000억원에서 2015년 1조 8000억원으로 두 배나 증가했다. 2020년엔 5조 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반려동물(pet)과 경제(economy)를 조합한 펫코노미(petconomy) 시대를 맞아 반려동물을 고객으로 공략한 식품사들을 살펴봤다. <편집자주>

◇ 성장동력 확보 위해 ‘펫시장’ 도전

수제햄으로 유명한 농협목우촌이 펫 사업에 뛰어들었다. 2017년, 목우촌은 반려동물산업 담당 팀을 새로 만들어 자사 브랜드를 내세운 애견 사료 시장에 진출했다. 김태환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가 당시 발표한 사업 계획에서 반려동물 산업 진출을 언급한 데 따른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2016년 개와 고양이 사료 시장 규모는 4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신성장동력확보를 위해 반려동물 시장을 주목한 농협은 목우촌을 통해 강아지 사료 제조 업체를 물색하는 것을 시작으로 반려동물 전용 상품까지 기획했다.

목우촌은 국내 축산물 농가에서 중요 업체다. 이 회사에서 생산하는 육가공 제품은 100% 국내산이다. 이는 고품질 신선식품을 판매한다는 인식도 가져다준다. 반면 국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이슈가 있을 때 목우촌도 어려움을 겪는 등 리스크가 있다. 목우촌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 펫사업에 진출한 배경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곽민섭 목우촌 대표도 신 성장 동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곽 대표는 새로운 유통채널 확보와 함께 다른 업종과의 협업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펫 박람회에 참가한 농협목우촌. (사진=농협목우촌)
펫 박람회에 참가한 농협목우촌. (사진=농협목우촌)

◇ 동종업계 하림펫푸드와 ‘윈윈’ 전략

곽 대표는 연구개발을 통해 신제품 출시도 계획에 두고 있다. 그의 방침엔 펫푸도 사업부문의 확대도 담겼다. 사람이 먹는 것과 같은 고품질 원료로 만든 프리미엄 사료 제품 개발을 추진 중이다. 경쟁사로 분류되는 업체와 협력도 마다 않고 있다. 닭고기 가공 업체로 유명한 하림도 펫시장에 진출해 하림펫푸드를 운영하고 있는데, 목우촌은 이 회사와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업체 간 서로 이익을 보는 구조를 구축해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목우촌은 펫사업 시장에 진출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 관련 박람회에 참가하는 등 적극 행보를 보였다. 2018년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8 슈퍼 펫 쇼’에 참가한 목우촌은 반려동물 인구 기호, 반려동물 트렌드에 맞춘 다양한 펫제품을 소개했다. 박람회에서 목우촌은 자연 친화적 성분을 원료해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 반려동물 용품과 유기농 원료를 함유한 ‘트러스트밀’, 까다롭게 만든 식품 ‘펫9단’ 등 다양한 제품들로 반려동물 인구들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맞이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펫사업과 관련 “주로 온라인에서 홍보를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8년, 목우촌은 신제품으로 출시된 강아지간식을 알리기 위해 SNS를 활용했다.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소비자들에게 생소할 수 있는 자사 펫사업을 알리기 위한 활동이다. 목우촌이 판매하는 반려동물 간식을 직접 체험한 SNS 후기글은 마케팅 효과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상품을 고르기 전 정보로 활용됐다.

목우촌 홍보팀 관계자는 “현재 자사 펫사업 상품군은 펫푸드 22개(‘트러스트밀 연령별 사료’ 등), 펫간식 9개(‘펫9단 소고기 져키’ 등), 펫용품 9개(샴푸 등)”라면서 “올해 펫 관련 목표매출액은 25억 가량”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