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내부거래 비중 낮으면 뭐 하나
-오너 일가에게로 흘러간 자금 규모 파악해야

GS건설 본사. (사진=GS건설)

[데일리비즈온 박종호 기자] 경쟁이 없는 곳엔 혁신이 없다. 시장경제 하에서 자명한 법칙이다. 그러나 이 법칙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곳 중 하나가 국내 건설 시장이다. 국내 대형 건설사들은 내부거래로 혁신이 설 자리를 잃게 만든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기업들은 계열사로부터 수의 계약으로 일감을 받는 동시에 실적이 떨어지면 오히려 수익회복을 위해 내부거래를 늘려왔다. 공정위에서도 부당 내부거래를 잡아내기 위해 눈에 불을 켜고 있지만 아무래도 신통찮은 구석이 많다. 그리고 그 결과는 국내 건설업 경쟁력의 악화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이에 본지는 주요 건설사의 내부거래 비중 실태를 심층조명해 본다. <편집자 주>  

◇ “생각보다 내부거래 비중이 낮은데?”

명실상부 국내 TOP3 건설사로 손꼽히는 GS건설의 내부거래 비중을 보면 의문이 든다. “어? 생각보다 내부거래 비중이 낮은데?” 지난해 하반기 기준으로 GS건설은 내부거래비중 2.7%, 내부거래액 3237억 원을 기록했다. 대부분의 건설사가 적게는 10%대 후반에서 많게는 40%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해 무난하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수많은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국내 탑 대기업이 그럴 리가 있겠느냐”는 의혹을 보낸다. 무언가 다른 꿍꿍이가 있다는 뜻일 터이다. 아니나 다를까 지난달 말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주 밖 계열사중 ‘사익편취’ 문제가 가장 심각한 기업으로 GS그룹이 꼽혔다.

일반적으로 사익편취는 오너 일가의 기업 사유화를 의미한다. 문제는 이 경우 일감 몰아주기를 통해 계열사의 파이를 키우는 행위가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어디라고 크게 다르겠냐마는 GS그룹은 좀 심하다 싶을 정도다.

공정위에 따르면 GS그룹 체제 밖 계열사 25개 중 20개 계열사가 사익편취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무려 80%에 해당한다. 내부거래는 일반적으로 그룹 내에서 거래 및 계약이 오가는 규모를 측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결국 GS그룹 전체의 내부거리 비중도 터무니없는 수치로 평가될 수 있었다. 

내부거래 하면 건설사가 빠질 수 없다. 그렇다면 GS건설은 어떨까? GS건설도 그룹에 속해있지 않은 계열사에 속한다. GS그룹과의 거래 측면에서는 GS건설 역시 ‘수치에 쉽게 잡히지 않는’ 내부거래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평이 중론이다. GS건설은 워낙 그룹 총수인 허창수 회장이 9.76%로 최대주주이며, 허씨 일가를 비롯한 특수관계인 지분이 28%에 달한다.

오너 4세에 해당하는 허윤홍 GS건설 사장. (사진=GS건설)

◇ 자회사 내부거래 통한 사익편취 꼼수

GS건설의 내부거래가 여태 크게 문제시되지 않은 이유도 이들의 비중이 법적으로 제재대상이 되는 30%에 미치지 못 해서다. 하지만 내부거래를 통한 사익편취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경제개혁연대도 최근 이를 두고 “내부거래를 통해 총수 일가와 특수관계에 있는 이들의 부를 불리는 데 활용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GS건설의 자회사 자이에스앤디의 IPO를 둘러싸고 불법 내부거래 논란이 오간 사례가 대표적이다. 자이에스앤디가 상장하면 GS건설의 지분이 줄어들 수 있었지만, 오히려 전년도 GS건설과의 내부거래비중이 50% 가까이 달한 사실이 알려지며 체면을 구겼다.

2018년에는 일감몰아주기로 시끌시끌했던 GS그룹의 자회사 엔씨타스가 문제의 자이에스앤디에 승계되며 내부거래 ‘돌려막기’ 의혹이 일었다. 이를 통해 일부가 엔씨타스 청산과정에서 창출된 자금을 유용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한 매체는 오너 4세들로 구성된 주주들이 청산과정에서 적잖은 금액을 챙겼을 것이라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현재 GS그룹에는 ‘홍’자 돌림 4세 남성만 15명이다. GS건설을 내세워 ‘나눠먹기식’ 경영을 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전망도 함께 제기된다. 

GS그룹 내에서도 GS건설과 연루된 내부거래가 자꾸만 강조되니, GS건설을 그룹 내로 편입시키자는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어쨌거나 GS건설이 그룹 밖에서 자체적으로 계열사를 두어야 사익편취를 추적하기가 훨씬 복잡해지기기 때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내부거래의 목적이 오너 일가의 배를 불리는 것이라면 내부거래 비율 자체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며 “3000억이 넘는 금액 중에서 오너 일가에게로 들어간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추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