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러다이트 운동 당시 유명한 삽화. (사진=토머스칼라일 작품)

[데일리비즈온 박종호 기자] 더 빠르고, 더 저렴하고, 더 고차원의 기술은 더 나은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심어준다. 그러나 2020년의 해가 밝은 지금 낙관론만으로는 부족하다. 사람들은 기술이 가져다주는 이점보다 기술의 역기능에 더욱 민감해지고 있다.

SNS는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와의 동시 소통을 가능케 하는 도구로 각광받아왔다. 2011년 아랍의 봄 당시 SNS는 하나의 해방군과도 같았다. 그러나 오늘의 SNS는 프라이버시를 침해하고, 선전선동의 도구이자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해악으로 비판받는다. 전자상거래와 공유경제는 편리할지 모르지만, 그 바탕에는 저임금 노동자의 희생이 있었다. 한편 신세대 부모들은 스마트폰이 아이들을 스크린에 중독된 좀비로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의 10년을 지배할 기술도 마찬가지다. AI는 확증편향을 강화시키고, 전통적인 산업을 위협하며, 권위주의를 공고화시킬 수 있다. 가령 5G는 미중 무역전쟁의 핵심이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온라인플랫폼 기반 회사들은 이제 전통적인 금융회사들보다도 신뢰받지 못한다. 반면 은행들은 스스로를 기술 회사로 탈바꿈해가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비관적인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며 “사회가 폭주하는 기술력을 통제할 수 없다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예전에도 그랬다. 1970년대 사람들은 인구과잉, 환경오염, 핵전쟁에 대해 우려했다. 1920년대에는 자동차의 등장으로 마차를 모는 마부들의 우려가 있었다. 더 이전 산업화가 태동할 때도 물론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기술은 ‘창조적 파괴’의 힘을 발산하므로, 그것이 불안으로 이어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렇게 우려는 늘 존재한다.

실제로 사람들은 기술의 이점은 당연하게 여기면서도 기술의 단점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스마트폰에 대한 우려도 논의되어야 하지만, 당연히 5G통신과 정보에 대한 즉각적인 접근이 가져다주는 이점에 대해서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기술이 가져다주는 장기적인 편익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옥스퍼드 대학의 칼 베네딕트 프레이 교수는 “사람들이 로봇이 그들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고 우려한다면, 정치인들은 로봇의 사용을 줄여나가기 위해 로봇에 엄청난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노동력 부족에 맞서 경제수준을 유지하고자 하는 나라들은 더 많은 로봇이 필요하다.

이코노미스트는 또 하나의 교훈은 전달한다. 기술의 역작용에 대한 해답은 또 다른 기술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실제로 에어백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기술이 도입되었고,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오늘날 획기적으로 줄었다. AI는 오늘도 SNS에서 극단주의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후변화도 마찬가지다. 친환경에너지, 탄소저감 및 에너지저장의 혁신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해결책도 상상하기 어렵다.

그러니 오늘날 기술을 받아들일지 말지에는 선택권이 없다. 당장 신기술이 가져올 문제뿐만 아니라,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데에도 더 나은 기술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