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은행의 저금리 기조...‘위장된’ 완화적 통화정책?

- 채굴 보상 반감기 도래에 따른 BTC 공급 감소와 가격 상승

- BTC의 헤지(hedge) 상품으로서의 매력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데일리비즈온 이재경 기자]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으나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낙관론이 대두되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는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경제 규모를 확대함에 따라 BTC 중장기 낙관론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 연준이 당분간 경제 부양책을 위한 완화적 통화정책을 시행할수록, 암호화폐로 자금이 집중되는 현상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여기서, 완화적 통화정책이란 시장에 화폐의 공급량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업계를 중심으로는 연준의 이런 움직임이 결국 비트코인 가격을 고점으로 끌어올릴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금리가 올라갈 때 연준은 국채를 매수하는 방식으로 금융 시스템에 추가 여유를 확보한다. 다시 말해, 연준이 시중에 돈을 풀어버리는 것이다. 이로써, 은행 입장에선 추가 은행 준비금이 생긴다. 그러나 9월 단기자금 시장이 혼란에 빠지면서 금리가 최대 10%까지 상승했다. 대출시스템이 불안정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자 연준은 국채 매수를 재개했다. 

연준은 특정금리를 강요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 다만 현재의 1.5~1.75%처럼 목표 범위 내에 금리를 유지하기 위한 통화량 조절에 따른 유동성을 조정할 권한은 가지고 있다. 9월 연준의 정책금리 목표치는 1.75~2%였다. 따라서 금리가 최대 10%까지 치솟자 연준은 불가피하게 조치를 취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국채 매수는 연준이 통화 공급을 늘려 경제 성장을 부양하기 위한 양적완화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코인데스크는 "전문가들은 연준이 2009년과 2015년 사이 3차례에 이어 올해 제4차 양적완화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중앙은행의 덫으로부터 탈출’의 저자인 다니앨 라칼도 “연준은 금리를 다소라도 떨어트리기 위해 ‘위장된’ 양적완화 프로그램을 취했다”라고 주장했다. 최근 미국 증시 상승은 투자자들이 연준의 발표를 신뢰하지 않으며, 현재의 경제 규모 확대를 양적완화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 사실상 ‘디지털 금’이라는 시각이 팽배하다. 이들에 따르면 암호화폐는 통화와 재정정책의 헤지(hedge)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서, 헤지(hedge)란, 위험회피 및 분산을 의미한다.  모건크릭디지털자산의 창업자이자 파트너인 앤토니 폼플리아노는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저금리, 추가 양적완화, 채굴 보상 반감(비트코인 채굴자들이 얻는 보상이 반감되면 새로운 비트코인 공급도 절반으로 줄어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유발된다는 이론)라는 특별한 상황으로 향하고 있다”라면서 “이러한 세 가지 일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면서 향후 2~3년 동안 비트코인 가격이 속등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단기자금시장이 짧은 시간안에 정상 궤도로 오를 가능성이 낮은 이상 연준은 당분간 경제 규모 확대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내년 5월이 되면 비트코인 채굴 보상이 반파될 예정이라 비트코인과 연준 통화정책 사이의 괴리는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업계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은 경제 주기 중 침체기에 시행되는 중앙은행의 기조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기에, 기존 금융 인프라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헤지(hedge) 상품으로 매력이 더해져갈 것’이라고 평했다. 12월 5일 오후 12시 반, 현재 비트코인의 시세는 8587704원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