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완화 11월부터 무기한 재개

유럽중앙은행(ECB). (사진=ECB)

[데일리비즈온 서은진 기자] 지난 9월 12일 유럽중앙은행(ECB)은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금리인하 및 양적완화(QE) 정책 재개를 결정했다. 집행위원회 위원들 간 엇갈린 의견에도 불구하고 장기침체에 빠진 유로존의 경기부양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조치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당시 통화정책회의에서 수신금리는 기존 –0.40%에서 –0.50%로 10bp인하되었으며, 기준금리(0.00%)와 한계대출금리(0.25%)는 동결되었다. 오는 11월부터 월 200억 유로 규모로 채권을 매입하는 자산매입프로그램(APP)이 재개되며, 종료시점과 총 매입규모가 정해지지 않았다. 이는 사실상의 ‘무기한 양적완화’이자, 경기부양을 위한 ECB의 정책의지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 9월부터 시행된 3차 장기대출 프로그램(TLTRO)의 대출조건(만기구조 및 금리)을 우호적으로 변경하여 은행의 기업대출을 장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오태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전문연구원은 “ECB의 완화적 통화정책의 배경으로 유로존의 경기둔화세 및 저인플레이션 지속을 꼽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신임 총재. (사진=라가르드 페이스북)

실제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신흥지역 취약성 등 유로존의 대외적 경제여건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실제로도 독일을 중심으로 한 경기둔화세가 두드러지면서 2019년과 2020년 유로존 및 주요 회원국 경제성장률이 각각 1.1%와 1.2%로 하향조정된 바 있다.

2017~2018년 기간 양호한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유로존의 인플레이션률은 1.0~1.5%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가격 변동성이 높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는 1.0%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오태현 전문연구원은 “유로존 내 대출규모가 최근 3년간 감소세에 있는 만큼 시중 은행들의 기업대출을 장려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물론 양적완화 재개 여부에 대해 일부 회원국 및 ECB 집행이사진의 반대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경기부양에 대한 ECB의 적극적인 의지가 더 컸고, 결국 양적완화 재개가 결정되었다는 것이 오 전문연구원의 의견이다. 실제로 드라기 ECB 총재 역시 경기부양 및 저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이 긴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완화적 통화정책을 결정했다고 밝히며, 회원국별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강조했다. 오는 11월 1일 취임하는 신임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역시 비전통적 정책의 부작용에 유의하면서도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평이다.

신임 라가르드 ECB 총재는 흔히 매파(the Hawkish)보다 비둘기파(the Dovish)에 가깝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오 전문연구원은 “향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일정기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다른 한편으로 ECB의 통화정책 결정과정에서 불거진 일부 회원국 및 ECB 집행이사진과의 갈등을 봉합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