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성장의 모델로 손꼽혀
-국내 스타트업에도 시사점 많아

노르웨이의 풍경. (사진=픽사베이)

[데일리비즈온 이재경 기자] ‘북유럽 3국(핀란드·노르웨이·스웨덴)’은 워낙 소규모 개방경제의 복지국가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혁신과 국가경쟁력뿐만 아니라 포용적 성장에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북유럽 3국은 흔히 ‘노르딕 모델’로 통한다. 그 이유로 크게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이들 국가는 다양하고 심층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로 ‘일을 통한 복지’를 강조하며 적극적 노동친화정책을 추진하는 편이다. 세 번째로는 임금협상이 대부분 노사 간 협의로 진행되는 점이다.

이 국가들은 유럽재정위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지난 10년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해 왔다. 다만 핀란드의 경우 노키아의 쇠퇴로 몇 년간 타격을 받은 바 있으나 최근 들어 성장세를 회복한 모양이다. 혁신분야에서도 EU 평균을 상회하는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스웨덴, 핀란드는 혁신 선도국(Innovation Leader), 노르웨이는 강한 혁신국(Strong Innovators)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러한 성과에 대해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은 “이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 숙련 노동력 △ 높은 교육 수준 △ 높은 정치적 안정성과 예측성이 특징이다”라며 “이러한 특징들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밖에도 북유럽 3국은 △성평등 △청년 고용 △사회적 이동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포용적 성장의 대표적 국가로 꼽히고 있다.

위 같은 점을 고려했을 때 김흥종 선임연구위원은 “한국과 북유럽 3국은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구축 협력, 친환경 자동차 개발 및 인프라 구축 협력, 친환경 스마트 조선해양플랜트 개발 협력, 북극개발 협력 등 미래지향적인 분야에서 협력의 여지가 크다”고 주장했다.

북유럽 3국이 각각 차별화된 스타트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분야별 정책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 연구위원은 아울러 “북유럽 3국을 하나의 시장으로 보아야 한다"며, "공동의 정책플랫폼 및 인프라를 구축하고, 동시에 인력교류도 요구된다”고 부연했다.

정책적 보조가 빠질 수 없다. 전기차 에너지 효율성, 충전설비 및 인프라 구축에서 기업 간 기술협력을 촉진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 간 정책 대화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김 연구위원은 “북유럽 3국과 친환경 스마트선박 공동개발 및 국제표준과 IMO협약에 대응하는 국제협력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김 연구위원은 이에 “노르웨이와는 북극항로 운항 사례 축적, 해양자원 개발, 수산양식업 기술, 첨단조선, 북극협력 등에서의 협력이 유익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스웨덴과는 북극환경기반 스타트업 비즈니스 활성화가 유망하다”며 “핀란드와는 해저케이블 연계 인프라사업 및 철도협력 등의 협의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