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바이오 기술 관련 특허청 개정안 나와
-과기부의 실질적인 도움도 기업 의지 돋구고 있어
-AI 신약개발지원센터, 향후 국내 혁신 허브 발판

제약업계가 AI 기반 신약개발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미래 혁신 기술에 관심을 두는 정부도 지원책을 마련했다. (사진=픽사베이)
제약업계가 AI 기반 신약개발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미래 혁신 기술에 관심을 두는 정부도 지원책을 마련했다. (사진=픽사베이)

[데일리비즈온 김소윤 기자]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신약 탐색기술 등도 앞으로는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됐다. 그간 바이오 빅 데이터 처리기술은 의료행위에 해당돼 특허를 받을 수 없었고 AI 기반 신약 탐색기술은 발명 부문이 불분명해 등록이 제한적이었다.

이에 정부는 환자 맞춤형 치료제와 디지털과 의약바이오 융합기술이 특허로 인정받도록 관련 심사기준을 세분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AI를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이 더 활성화될 전망이다.

특허청은 이 같은 환자 맞춤형 치료제와 디지털 진단 기술, 지능형 신약 개발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 부여 기준을 명확히 하는 내용의 ‘특허·실용신안 심사기준 개정안'을 지난달 18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유전체 정보 같은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해 특정 약물에 감응성이 높은 환자군을 찾은 발명도 특허를 받을 수 있다. 그간 특정 유전자를 가진 암환자에게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표적 치료제가 개발돼도 그 성분과 대상 질환이 동일한 선행기술이 있으면 특허를 획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았다.

향후에는 성분과 대상 질환이 같더라도 특정 환자군에 현저히 높은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특허로 인정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진단기술의 경우 의료행위에 해당돼 인도적으로 특허권에 의해 제한받지 않도록 특허를 부여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빅데이터 기반의 진단기술처럼 컴퓨터상의 정보처리방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됐다. 다만 의료인에 의한 행위가 아니어야 한다.

이번 개정안 시행으로 바이오, 빅데이터, AI 기술이 융합된 과학기술의 특허 보호가 더 수월해질 전망이다. 그간 이러한 융합 기술은 기준 정립이 돼있지 않아 특허 획득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힘들었다. 이 같은 이유로 특허청은 AI로 신약 후보물질을 탐색하는 기술처럼 컴퓨터 소프트웨어 발명으로 인정되는 경우 컴퓨터 발명으로 간주하고 관련 심사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AI로 개발된 신약이 특허를 받기 위해서는 화합물 발명과 마찬가지로 제조방법이나 약리효과를 명세서에 기재해야 한다.

AI로 개발된 신약은 특허청의 보호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사진=픽사베이)
AI로 개발된 신약은 특허청의 보호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사진=픽사베이)

이번 특허청의 개정안 시행으로 인해 관련 내용에 대한 법적 보호 효과가 높아질 것은 물론이고 업계의 AI를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도 더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국내 주요 제약기업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인 장소에서 AI 신약개발 의지를 드러냈다.

16일 국내 주요 제약기업 CEO들이 AI 신약개발지원센터를 중심으로 AI 기반 신약개발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날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서울 강남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개최된 AI 신약개발 해외동향을 주제로 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23곳의 제약사 CEO들은 협회와 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 설립한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 T/F에 참여하고 있는 제약기업 관계자들로 국내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을 주도한다는 평을 듣는다.

간담회에 참석한 제약사들은 대웅제약, 대원제약, 동아ST, 동화약품, 보령제약, 삼진제약, 신풍제약, 안국약품, 유한양행, 일동제약, 일양약품, 제일약품, 종근당, 크리스탈, 하나제약, 한독, 한미약품, 휴온스, CJ헬스케어, GC녹십자, LG화학, JW중외제약, SK바이오사이언스 등이다.
 
이 자리에서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은 전 세계적인 흐름“이라면서 ”AI 신약개발 지원센터는 기업이 R&D 각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향후 신약개발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인사말을 열었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가 AI 기반 신약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지원책을 마련했다. 협회 역시 회원사와 힘을 합쳐 센터를 중심으로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며 정부의 정책 마련도 언급했다.

지난달 AI 신약개발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여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등 관계자들 모습
지난달 AI 신약개발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여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등 관계자들 모습

특허청의 관련 개선안 뿐 아니라 과학기술부의 실질적인 도움도 투입돼 기업들의 의지가 더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 미래유망 원천기술개발 투자가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등 바이오헬스 분야 핵심 원천기술 확보부터 우주 발사체 자력 개발과 독자 위성기술 확보까지 미래 유망 기술에 지원이 강화된다는 설명이다.

​규모로는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에 446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글로벌 신약개발에 필요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구축해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단축시킨다는 목적이다. 또 국민 생명·건강에 직결된 바이오 첨단의료 분야에 2657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이날 이동호 AI신약개발지원센터장은 “국내 신약개발 연구진의 역량은 우수하나 기존 패러다임으론 선발주자를 따라갈 수 없다. 센터와 제약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은 제약산업 미래에 틀림없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남식 캠브릿지 의과대학 밀너연구소 AI연구센터장 “오랜 기간 많은 비용을 투입해도 신약개발 성공률은 10%를 밑돌지만 AI를 활용하면 후보물질 발굴부터 신약승인 이후 제품 생산 등 전 과정에 이르기까지 불필요한 실패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며 “인공지능이 신약개발의 해답이 될 수 있다”고 기조강연을 통해 발언했다.

세계적으로 AI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활발하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CB인사이츠에 따르면 전세계 헬스케어와 신약개발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연구의 투자 규모는 2012년 47건 5억 8880만 달러에서 2016년 658건 50억 2000만 달러로 크게 늘었다.

한편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달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공동으로 AI 신약개발지원센터를 설립했다. AI 신약개발지원센터는 AI 기술보유 업체와 제약기업 간 1:1 컨설팅 지원, AI 활용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사업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