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데일리비즈온 이재경 기자] 90년대 후반부터 우리의 드라마나 인기 아이돌이 해외에서 인기몰이를 하면서 “한류(韓流)”라는 말이 생겨나고 2000년대 들어서는 “K-Pop”이라는 용어가 전 세계적으로 회자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우리의 문화가 전 세계로 수출되고 확산되는 것을 우리는 목도하고 있다. 21세기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이제는 K-Pop을 넘어 K-Bio로 우리의 지경을 넓힐 필요가 있다.

OECD는 2030년 바이오 경제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식량, 에너지, 환경, 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바이오 기술이 인류에게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아울러 전 세계의 바이오 시장규모는 2030년 4조 3,000억 달러(약 4천972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시장을 두고 전 세계는 치열하게 생물자원 전쟁을 벌이고 있다. 바이오 경제의 근간은 바로 종자, DNA, 미생물을 포함하는 생물자원이기 때문이다.

2010년 UN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되고 2014년 10월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에 따라 전 세계는 생물자원 및 전통지식의 주권을 인정하고 더 이상 공유할 수 없게 되었다. 즉, 다른 나라의 생물자원과 전통지식을 이용해 제품을 개발하여 이익을 내게 되면 자원 제공국과 그 이익을 나눠야 한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해외의 생물자원 이용에 따른 로열티 부담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식품 종자를 비롯해 화장품, 의약품 등의 원료를 해외의 생물자원에  70% 정도를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 경제시대에는 생물자원이 곧 국부이다. 따라서 이를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지원과 전문 인력의 양성은 바이오 경제를 떠받치는 주춧돌이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생물자원을 발견하고 이의 유용성을 밝히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여되어야 한다. 인고의 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하나의 새로운 생물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신약 개발이 결실을 맺기까지 10여 년의 지난한 과정을 거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1년 정도의 짧은 연구 과제를 통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점을 반영해 바이오 관련 연구개발과제에 대해서는 긴 호흡을 가지고 접근하고, 지원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최근 정부에서도 바이오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생명공학육성 시행계획을 결정하고 올해 약 3조 원의 투자계획을 확정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목소리는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해서 늘 나오는 얘기지만 아직까지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규제 문제는 심각하다. 규제 때문에 한국에서는 사업을 못하겠다고 선언하고 미국 실리콘밸리로 사업체를 옮긴 실제 사례가 있을 정도이니 말이다. 따라서 규제정책과 관련해서는 선진 해외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규제정책의 차이로 인해 해외의 경쟁 기업들은 자유롭게 뛰고 있는데 우리 기업들은 발에 차꼬(着錮)를 차고 뛰는 형국이라면 반드시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세계 시장을 리딩하는 셀트리온의 사례에서 보듯이 바이오산업은 미개척지가 많아 그 기회가 무궁무진하다.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어느 영역보다 많은 것이다. 따라서 바이오산업의 특성을 감안한 합리적인 연구개발 지원정책과 규제정책에 더하여 연구개발 전문인력 양성으로 우리의 바이오 기술과 제품이 전 세계를 누비는 “K-Bio” 신화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우리의 신성장 동력으로서 미래 우리의 경쟁력을 높이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