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수준은 완성단계
-국내 중소기업은 독일의 성공전략 벤치마킹 필요

[데일리비즈온 이은광 기자] 독일의 4차 산업혁명 정책은 이해당사자 참여 및 논의를 통하여 이행되는 정부주도·관리형 정책으로, 다양한 산업을 포괄하는 글로벌 최대 4차 산업혁명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을 기반으로 네트워킹을 구축해 중소기업들이 다양한 성공사례와 관련 정보들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 결과이다.

독일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유지를 위한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정책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제조업 중심, 가상물리시스템 중심, 표준화 중심이라는 집중접근방식과 네트워크를 통한 중소기업의 참여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낸 것이 독일 4차 산업혁명의 특성으로 대변된다. 이것은 독일과 유사하게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무역협회 장현숙 국제무역연구원의 자료에 의거하면 독일의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에 등록되어 있는 360개 활용사례를 지역, 사업성숙도, 제품 유형, 적용분야, 기업 규모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소프트웨어솔루션 및 자동화 부품 업체 사례가 70%에 달해 압도적인 비중을 보였고, 생산 공급망 분야에 적용된 사례가 40% 내외로 가장 많았다.

사업모델 성숙도는 연구개발(13%) < 실증단계(16%) < 시장도입 및 파일럿단계(20%) < 시장성숙화 단계(51%) 순으로 나타나, 독일 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수준이 완성단계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국내 중소기업은 독일의 성공전략 벤치마킹 필요

따라서 우리 중소기업은 독일 중소기업의 4가지 성공 전략을 참고해 4차 산업혁명 변화 속에서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을 전개해야 한다. 인공지능, 가상물리시스템, 로보틱스 등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운데 자사에 가장 유용한 기술을 선정해 생산현장에 적용 가능성을 타진함과 동시에 새로운 사업모델의 가능성과 시장성을 평가해 기업의 성장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① 가치 기반서비스, ② 플랫폼 기반 서비스, ③ 인프라 기반 서비스 3가지로 유형화 되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사업모델 중 자사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가치사슬간의 협력을 통한 상생 모델을 필요로 하는 만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국내 대기업(혹은 중견 기업)과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을 갖고 있는 중소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사업 모델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우리나라도 동반성장 플랫폼 기반의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 독일은 2000년대 중반부터 4차 산업혁명 추진 중

독일은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이미 2000년대 중반부터 추진해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대비하여 가장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전략을 설계 및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 중국, 독일이 경합하는 경쟁구도에서 선도국 지위를 유지하는 전략을 택했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있으며, 인더스트리 4.0 도입으로 비용 절감 및 생산성 증대 효과와 함께 사업모델 확장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독일은 4차 산업의 개념을 2006년에 정립했다. 독일 정부의 자문기구인 ‘연구연합(Forschungsunion)’과 독일 하이테크(Hightech) 전략단 산하의 인더스트리 4.0 프로젝트 팀이 구성한 연구 플랫폼에서 최초로 개념화 했다. 이 프로젝트 팀은 “인더스트리 4.0의 범위가 기업과 산업을 넘어 사회적인 부분의 영향까지도 포괄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에 2010년 인더스트리 4.0이 독일 산업 정책국에 포함되었고, 2012년에 독일 연방교욱연구부는 인터드스트리 4.0을 자국 10대 미래 기술로 선정했다. 이후 2013년에는 산업, 학계 및 과학계 대표들로 구성된 작업반(Working Group)과 하이테크산업협회, 기계엔지니어링 산업협회, 전자산업 협회로 구성된 사무국을 기반으로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을 출범시켰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각 협회 회원사간의 정보 교류 및 공동 연구를 촉진하고, 기술 표준 개발과 선도 사례 발굴 및 확살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확장 운영 중이다. 
 

◇ 독일의 4차 산업혁명 시사점

독일의 4차 산업혁명 정책은 이해당사자 참여 및 논의를 통하여 이행되는 정부주도·관리형 정책이다. 다양한 산업을 포괄하는 글로벌 최대 4차 산업혁명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글로벌 경쟁력 유지를 위한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정책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제조업 중심, 가상물리시스템 중심, 표준화중심이라는 집중 접근방식과, 네트워크를 통해 중소기업의 참여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냈으며 업계간 파트너십 전략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독일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은 주요 선도국 대비 성공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기업들의 대응 수준이 완성 단계에 접어든 독일은 많은 중소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자동화 부품 시장하게 진출하고 있다. 이 같이 국내 대기업이나 중견 기업은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을 갖고 있는 중소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사업모델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반성장 플랫폼 기반의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4차 산업혁명은 융합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미래 핵심 경쟁력으로, 가치협력을 통한 상생 모델을 필요로 한다. 특히 기업들에게는 4차 산업혁명이 기술과 장치들의 상호간 연결을 통한 생산 프로세스 혁신을 의미함과 동시에 신사업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장 연구원은 “ITC기기와 사물 인터넷의 보급 빛 사용 확대로 유발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출현과 소비자들의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융합 전략이 중요하다”며 “독일의 성공전략을 참고하되, 맹목적으로 따라 하기보다는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도입 목적을 명확히 한다면 성장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