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하티르 총리. (사진=연합뉴스)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총리. (사진=연합뉴스)

[데일리비즈온 박종호 기자] 신남방 국가들 중에서도, 말레이시아와의 협력을 확대해야한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힘을 얻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국가 중 싱가포르, 브루나이에 이어 소득수준이 세 번째로 높을뿐더러, 주변국 대비 인프라가 우수해서 1960년 우리나라와의 외교관계 수립 이래 제조업, 건설업, 에너지 등 다방면에서 협력관계를 지속해 왔다.

반면, 한국의 대말레이시아 교역 및 투자는 최근 다소 정체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건설수주 또한 2013년에 고점을 기록한 후 감소하는 등 양국간 경제 교류 및 협력이 부진한 상황이다. 

거기에다 말레이시아의 저임가공형 제조업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주변국과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고부가가치 산업 위주로 경제협력 전략을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신정부는 2024년 고소득국 도약을 목표로 생산성 향상, 혁신역량 제고,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중점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과거 동방정책으로 대표되는 대외관계 다변화 전략도 추진력을 얻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마하티르 정부는 경제성장 가속화 및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생산성 제고, 산업 고부가가치화, 양질의 투자 촉진 등을 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마련해 혁신역량 제고하고 고부가가치의 제조업 육성을 강조하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반면 우리 정부는 말레이시아를 글로벌 할랄산업 허브로 육성하고자 할랄산업 및 이슬람금융 육성, 할랄 표준화를 지속하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을 비롯한 여러 연구 기관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좀 더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모색해야한다고 전한다.

말레이시아는 비교적 높은 소득수준, 우수한 인프라 등 중동시장 진출 교두보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시장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에 양국간 경협 현황 및 신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에 근간해 미래지향적인 협력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있다.

KIEP은 이에 양국간 경제협력 증진 방안으로는 말레이시아의 동방정책과 한국의 신남방정책 연계를 통한 협력 확대, 4차 산업혁명 분야 협력 추진, 양자 FTA 재추진, 할랄산업 관련 협력 확대를 제시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