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알렉 로스 존스홉킨스대학교 석좌방문연구위원이 ‘4차 산업혁명의 도전, 이슈와 대응’ 회의에서 기조 발언하는 모습
사진=알렉 로스 존스홉킨스대학교 석좌방문연구위원이 ‘4차 산업혁명의 도전, 이슈와 대응’ 회의에서 기조 발언하는 모습

4차 산업혁명이 야기할 △불확실성 △빈부의 격차 △정보의 독점을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해결책 중 하나는 공평한 교육 제공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한국은 독일, 미국, 중국, 일본과 함께 4차 산업혁명 강국이며, 어느 국가보다 높은 기술과 교육 제도를 보유하고 있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미국의 산업 인터넷’, ‘일본의 로봇 신전략’, ‘중국의 제조 2025’ 등이 이에 속한다. 한국은 ‘ICT 융합 기술’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또한, 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가 동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미래 산업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더불어 젊은 세대들이 향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도자가 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문과 문화를 습득 하고 있으며, 미래의 알파벳이라 불리는 ‘컴퓨터 코딩’에 대한 열의도 많다.

하지만, 인간은 소프트웨어처럼 단기간 내 업데이트 할 수 없기 때문에 기술변화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것이 교육과 함께 기술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구제할 정부의 구제책이 필요한 이유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개방’과 ‘폐쇄’의 여부가 핵심이다. △경제·인적자본의 이동성 △성평등 △사회적 규범 △소수민족 존중은 개방의 중요한 요소다. 이제까지는 실리콘밸리와 텔레비브, 워싱턴과 서울 등에 국한 되었는데, 앞으로 더 다양한 지역에서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떠오르는 신흥 강국인 중국과 인도의 경우, 중국은 인도에 비해 △유리한 네트워트 입지 △비교적 단일한 사회적 특성 △이로 인한 교육·제도적 우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통제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모든 국가들이 혜택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논의에 관하여, 전문가들은 3차 산업혁명 시기에, 아프리카와 같이 역사적으로 고립·분리된 최빈국들이 인터넷 망 전파로 인해 글로벌 체인에 참여할 수 있었음을 볼 때, 꼭 부정적일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향후, 아프리카의 천연자원과 외부세계가 연결될 경우에 전 대륙으로 그 번영이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2015년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클라우드 슈밥 경제학자가 ‘4차 산업혁명’ 화두를 던진 이후부터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 열풍이다. 정치, 사회, 경제 전반에서 급격한 사회 변화를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에 교육계와 기업들도 긴장하는 태세이다.

이는 우리나라와 글로벌 산업 강국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 모든 국가들에게도 도전 과제이다. 기존의 불평등과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그 첫 번째 발걸음일 것이며, 1,2,3차 산업혁명에도 발전하기 어려웠던 국가들은 기술변화를 기회로 삼아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공동번영을 위해서는 개별 국가의 독립적 노력이 아니라 국가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외교라는 국가 간 소통채널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4차 산업혁명’의 불확실한 전망에, 국제 관계에 미칠 영향도 섣불리 점칠 수 없는 상황임이 분명하지만, 변화는 이미 일어나기 시작했고 발전에는 멈춤이 없다는 명제 아래, 21세기 최첨단 기술을 현명하게 활용할 방법을 모색하여 기술과 인간의 조화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