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는 2017년 10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정부 역시 지난 2017년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출범시킨 바 있다. (사진=청와대)

[데일리비즈온 박상희 기자] 4차 산업혁명은 일반적으로 정보기술이 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변화가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혁신 역시 온오프라인을 연결하여 종전과 다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있다는 평을 얻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우리 정부 역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형 신산업을 발굴 및 육성하고,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로 산업경제 활력을 회복하기 위한 세부 전략을 추진 중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기술개발은 과거 미국과 일본에 의해 주도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중국과 인도가 2000년대 중반부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한국의 경우 ‘기타 제품 산업’에서 디지털 혁신 수준이 높다고 분석했다.

기타 제품 산업의 한 예로 산업용 로봇을 들 수 있다. 산업용 로소의 활용통계를 보면 한국은 3위 로봇 설치국이며 4위 로봇 운용국이다. 다만 미국특허통계에 의하면 한국의 디지털 혁신 수준은 아직 미국이나 일본과 비교할 정도는 아니라는 해석도 있다. 최근 2010~15년 사이 한국의 산업별 디지털 혁신 수준은 모든 산업에서 미국, 일본과 중국, 인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의 경우에는 인도보다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기술에서의 격차가 컸으며,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의 경우에는 중국 및 인도보다 낮았다. OECD 통계를 보더라도 한국은 기업 및 가계의 초고속 인터넷 이용률이 각각 99.3%와 99.5%로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IT 활용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KIEP는 이어 디지털 혁신이 우리나라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업 수준의 디지털 혁신 파급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교역증대효과는 1.39%로 미국(3.35%), 유럽(1.53%)에 미치지는 못해도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브라질, 인도에 비해 한국의 디지털 혁신 실적은 상대적으로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KIEP의 연구진들은 “디지털 혁신은 기술특성, 기술발전 수준, 국가간 기술 격차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무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공장의 예를 들면, 도입기에는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지만 기존 생산방식과 본질적인 차이를 갖지 못해 개별 기술 수준과 영향력에 의해 무역패턴이 결정된다.

이어 “성장기에는 데이터 기술이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을 신속하고 차질 없이 생산하지만, 리쇼어링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한다”며, “성숙기에는 현지에서 제품이 생산되는 분산형 제조가 등장하며 제조업의 서비스화와 분산형 제조업이 공존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 관계자는 “미국 등 주요국들과의 격차가 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기술에 대해 한국이 연구개발투자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며, “현재의 무역규범을 디지털 혁신에 걸맞게 정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