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환 현대제철 대표이사. (사진=현대제철)

[데일리비즈온 박상희 기자] 인도 정부가 현대제철과 포스코에 합작제철소 설립을 위해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공세에도 불구하고 워낙 대규모 사업인 만큼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푸니트 칸살 인도 철강부 국장이 이끄는 철강투자 대표단이 25일 방한해 현대제철, 포스코 관계자 등과 차례로 면담했다. 이번 대표단에는 인도 국영철강사인 'RINL'의 프라도쉬 쿠마르 라스 CEO도 포함됐다. 

인도 정부는 용광로(고로)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올해 초부터 양 사에 합작회사 건립을 제안해왔다. 고급 철강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기 위해서다. 인도는 아직 철강 관련 기술이 부족해 첨단 분야 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

인도 정부는 제철 원료인 철광석과 공장부지 등을 제공하는 대신 한국 업체가 설비와 기술을 맡는 형태의 합작을 원하고 있다. 현대제철과 포스코 모두 인도에서 공장을 운영 중이지만 두 회사 모두 인도에 고로 공장은 없다.

이에 인도 측은 양 사의 합작투자도 제안했다. 두 회사가 이에 합의하면 인도 정부는 경영권에 관여하지 않을 정도의 지분만 확보한다는 것. 현대제철이나 포스코가 국영기업 등과 합작한다면 인도 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州) 해안에 있는 부지 3000에이커(12.1㎢가량)를 제공하겠다는 제안까지 등장했다. 

그러나 양 사 모두 이에 대해 조심스러운 반응이다. 포스코의 경우 특히 과거에 크게 데였다. 과거 오디샤 주정부와 120억 달러(약 13조4000억 원) 규모의 제철소 설립을 추진했으나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지난 2017년 사실상 사업을 철수한 경험이 있다. 고로 건설에 조 단위의 자본이 필요하다는 점도 큰 부담이다. 

포스코 진출에 반대하는 오디샤 주의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포스코 진출에 반대하는 오디샤 주의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다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는 반박도 있다. 인도가 제공하기로 약속한 토지가 이미 인도 국영회사인 RINL이 보유하고 있는 유휴부지라 부지 확보 과정에 문제가 생길 이유는 없다는 것이다. 더불어 현대제철이 포스코와 합작형태로 인도에 진출한다면 비용부담도 크게 덜 수 있다.

현대제철 역시 인도 진출의 유인이 있다. 현대제철 관계사인 현대자동차 인도 법인은 현재 자동차 강판 상당 부분을 한국에서 들여오고 있기 때문이다. 합작 제철소를 지으면 현지 조달이 가능해진다. 남부 타밀나두 주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공장과의 물리적인 거리도 가까워진다.

한편, 인도는 현재 중국에 이어 세계 조강생산 순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3억 톤의 조강 능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세워뒀다. 이에 양사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