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프라 개발사업은 ASEAN과의 실질적인 협력강화 전략
- 인프라 표준화과정 참여 및 수주품목 다양화 노력 요구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월 15일 GS건설, 삼보ENC, 동아지질, 삼정스틸 등이 참여하고 있는 싱가포르 지하철 차량기지 건설 현장을 방문해 관계자에게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비즈온 박상희 기자] 2018년 10월 기준 한국 건설사는 신남방지역에 98.9억 달러(전체 수주액의 40.9%)를 수주했다. 이는 중동에 대한 수주액 85.7억 달러(전체의 35.5%)를 넘어선 수치로 신남방지역이 한국의 최대 수주처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우리 정부도 이에 고무되었다. 2022년까지 1억 달러 규모의 아세안 글로벌인프라펀드를 신규 조성하여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 지역에서 한국 건설기업의 인프라 수주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16년부터 2030년까지 ASEAN 지역에서만 3조3000억 달러의 신규 인프라 수요가 창출될 예정이다.

이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최근 아세안(ASEAN) 인프라 시장의 특성과 일본, 중국 등 주요 경쟁국의 ASEAN 진출 전략을 분석했다. 나아가 이미 진출한 한국 건설기업의 경영실태를 살펴보고, 정부의 지원정책에 대한 기업의 자체 평가결과를 정리했다. 

KIEP의 연구에 따르면 “아세안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인프라 개발이 필요하되, 주요국별 인프라 수요 분야와 발주역량이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도네시아는 교통 인프라, 필리핀은 전력 인프라, 베트남은 전력과 통신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각각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건설기업도 차별화된 접근방식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변수도 있다. 경쟁국인 일본은 건설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건 조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인프라 개발의 국제표준화정책이 대표적이다. 즉, 일본의 표준과 인증기반을 강화함으로써 경쟁국들의 활동을 어렵게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일본 주도의 건설표준과 인증기반이 ASEAN 지역에 형성된다면 한국 기업도 그 기준을 준수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KIEP은 “일본의 전략을 면밀히 살피면서 ASEAN과의 협의를 통해 인프라 표준화과정에 동참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또한 해당 연구에 의하면 한국의 수주는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에 집중되어 있어 지역별 편중도가 높았다. 수주 건당 부가가치도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에서는 부가가치가 낮은 반면 싱가포르에서는 높았다. 또한 국내 건설기업은 대부분 단순 도급공사를 수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건설사들은 부가가치가 높은 투자개발사업으로 수주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2018년에 출범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이를 달성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공종별 수주액이 특정 공종으로 집중되면서 국내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아울러 KIEP은 “한국 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케팅 능력과 유형자산 부문의 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은 사업수주 시 서로 다른 요소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가령, 대기업은 국제정세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중소기업은 환율과 국내 건설경기로부터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대기업의 64%는 수주 리스크 대응책을 보유한 반면, 중소기업의 66.6%는 대응책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다만 이들은 모두 신남방정책에 대해서는 단기 수익성보다는 장기 성장성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 참여한 KIEP의 연구진들은 “ASEAN 인프라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분하고 수요에 부합하도록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