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첨단도시 구르가온. (사진=WeAreGurgaon)

[데일리비즈온 박상희 기자] 최근 전세계의 직접투자(FDI)가 연평균 2.3%(2013~17) 순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가운데, 인도로 향하는 FDI는 같은 기간 연평균 9.2%로 가파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몇몇 외신은 최근 대인도 직접투자는 미국, 중국 등을 중심으로 한 M&A 투자를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업종은 소프트웨어, 통신, 전자상거래 등 첨단 서비스업 중심이다. 실제로 미국의 대인도 FDI는 2010~13년간 38억2500만 달러에서 2014~18년간 116억43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중국의 투자는 같은 기간 2억6100만 달러에서 18억2500만 달러로 늘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역시 2016년 이후 M&A 투자가 대인도 FDI를 견인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2018년에는 전체 FDI의 60%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신,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각각 10.1%, 5.5%, 4.4%p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대인도 FDI 증가의 이유는 무엇일까? 크게는 △FDI 규제완화 등 기업 투자환경 개선 △디지털, 첨단산업의 성장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확대 등이 꼽힌다.

가령, 인도는 얼마 전 세계은행 기업환경 평가에서 190개국 중 77위를 기록했다. 2018년 순위가 100위라는 점을 고려하자면 놀라운 성장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인도는 대부분의 산업에 대한 투자를 자동승인하고, 통합간접세(GST)를 도입하는 등 사업 환경을 지속 개선하고 있다. 

디지털, 첨단산업의 성장은 곧 외국기업의 투자를 유도하고 있으며, 모디 정부가 추진 중인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FDI도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KIEP의 연구진들은 “ICT 서비스, 전자상거래, 의료·바이오 등을 중심으로 전략적 투자협력 강화가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국의 대인도 투자가 자동차, 금속·철강 등 일부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인도가 강점을 가진 ICT 서비스(인공지능, 빅데이터 포함), 성장성이 우수한 전자상거래, 그리고 인도정부의 육성산업인 신재생에너지, 의료·바이오 등에 관심을 기울이자는 지적도 그러한 맥락에서 나왔다. 

KIEP의 연구진들은 “디지털 인프라 구축, 스마트시티 사업 참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거래비용이 높은 한·인도 무역 및 투자 관계의 특성상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