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일으키는 두뇌 무질서 발생

갓난 새끼는 아주 짧은 시간이라도 어미에게 떨어지는 것이 너무나 치명적인 경험이다. 이런 고통스런 경험을 한 새끼는 다 큰 다음에도 두뇌에 심각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동물 실험 결과 드러났다.

이런 동물은 뇌 구조나 뇌 작용이 혼란되는 현상과 같은 증상을 겪는데, 이는 조현병 같은 신경심리학적 혼란의 위험을 가진 사람에게 나타나는 그런 혼란이다.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퍼듀 대학교 인디애나폴리스 (IUPUI) 과학대학의 심리학조교수인 크리스토퍼 라피시(Lapish) 조교수와 사린 자네시안-프리츠(Sarine Janetsian-Fritz) 박사 등이 수행한 ‘모성박탈이 성인의 인지 및 뇌피질 변화를 유발한다’(Maternal deprivation induces alterations in cognitive and cortical function in adulthood)는 논문이 최근 ‘변형정신과학’ (Translational Psychiatry)에 게재됐다.

 

라피시 교수(왼쪽)와 자네시안-프리츠 박사 ⓒ School of Science at IUPUI
라피시 교수(왼쪽)와 자네시안-프리츠 박사 ⓒ School of Science at IUPUI

이번 연구는 크리스토퍼 라피시 심리학 조교수 실험실에서 진행됐다.

어린 쥐가 태어난 지 9일 됐을 때 어미에게서 24시간 동안 떼어놓았다. 생후 9일은 두뇌 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랬더니 매우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어미에게서 떨어지지 않은 다른 쥐와는 달리, 어미에게서 떨어진 쥐는 어른이 되었을 때 중대한 행동적∙생물학적∙심리학적 비정상을 나타냈다.

쥐와 인간의 두뇌, 유사한 구조 가져 

과학자들은 쥐와 인간의 두뇌 유사성에 주목하고 있다. 라피시는 “쥐와 인간의 두뇌는 유사한 구조와 연결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라피시는 어미에게서 분리된 어린 쥐의 두뇌에 무슨 일이 벌어지는 지를 이해하는 것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어린 아이 두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준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갓난 아기의 어머니가 감옥에 갇히는 등의 의도하지 않은 모성박탈이 발생할 수 있다. 라피시 교수는 “두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더 잘 이해할수록, 신경회로의 변화를 되돌릴 새로운 치료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어미에게 분리된 동물에게는 ‘기억력 상실’이나 두뇌의 여러 영역 사이의 소통이 줄어드는 현상이 특히 강하게 나타났다고 교신저자인 사린 자네시안-프리츠 박사는 말했다.

그녀는 “이번 실험은 어떤 사람이 인생 초반기에 겪는 사건이 나중에 성장해서 조현병 진단을 받을 위험이 높아지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이나 조현병이 늦게 나타나는 원인은 아직까지는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공동저자인 브라이언 오도넬(Brian O’Donnell) IU블루밍턴(Bloomington)의 심리학 및 뇌과학 교수는 “출생 초기에 스트레스에 노출되거나 모성박탈에 노출된 아이들이 나중에 성인이 되어서 조현병을 비롯한 정신적 질병이나 중독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갓난 설치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줄 때 두뇌와 행동에 일어나는 한 가지 변화를 알아냈을 뿐이다. 어린이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일은 아이가 성인이 되었을 때 감정적인 무질서에 이르는 취약점을 줄여줄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발표했다.

<이 기사는 사이언스타임즈(www.sciencetimes.co.kr)에도 실렸습니다. 데일리비즈온은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송고를 허용합니다.>

 

저작권자 © 데일리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